‘한국스럽다’ – 회복탄력성에서 희망을

♦ ‘중국스럽다’

 

철강 사업에 종사하는 친구 하나가 어제 오후 아래 사진과 함께

 

 

국어사전에 ‘중국스럽다’라는 형용사를 등재해야 한다며 사진 한 장을 문자로 보내왔다. 그러면서

 

“중국스럽다 : 아무렇게나 중국에서만 통하는”

 

이라는 설명도 붙여 왔다. 보아하니 사진은 중국에서 수입한 철강코일에 하자가 있는 것이었다.

 

순간 실소가 터져 나왔다.

 

조간에서 전 날 방송된 mbc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에서 그룹 ‘DJ DOC’ 김창열이 ‘창렬스럽다’는 신조어로 속앓이 했던 경험을 털어놓았다는 기사를 봤기 때문이다.

 

♦ ‘창렬스럽다’

 

‘창렬스럽다’는 포장에 비해 내용물이 부실하다는 뜻으로, 그의 이름을 딴 식품업체제품이 부실 논란으로 문제가 되면서 등장했다.

 

김창열은 “너무 이름이 언급되고 ‘창렬스럽다’ ‘창렬하다’ 이런 것들이 놀림거리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하긴 했다”면서도 “그 이름이 나쁜 이미지라면 좋게 만들려고 노력할 거고 좋은 쪽으로 생각하면 내 이름이 되게 유명해진 거니까”라고 웃어 보였다.

 

김창열의 아내 장채희씨는 자신이 생각하는 ‘진짜’ 창렬스러움에 대해 “인간적이고 꾸밈없고 자기 소신껏 하는 것. 연예인 같지 않은 행동, 솔직한 자기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 ‘한국스럽다’

 

밤에는 전차군단 독일을 2-0으로 제압하는 쾌거를 보면서 역경을 이겨내는 회복성탄력성을 의미하는 ‘역경지수’ 라는 단어와 함께  과연  ‘한국스럽다’는  느낌이 들었다.

우리는 ‘역경지수(AQ : Adversity Quotient / 逆境指數)가 어느 민족보다도 높은 민족이다. 먼 이야기 들출 거 없이 ’한강의 기적‘과 ’IMF졸업‘만 해도 충분하다.

1998년 박세리 선수가 ‘US여자오픈 골프대회’에서 ‘맨발 투혼’으로 우승을 차지하여 IMF로 주눅 들었던 국민들에게 힘과 용기를 준지도 꼭 20년이 되었다.

 

이참에 ‘한국스럽다’는 형용사를

 

“벼랑 끝에서 최선을 다해 희망을 찾은 ”

 

이라는 긍정적 의미로 국어사전에 올리면 좋겠다.

 

이번 쾌거로 선수들이 찾은 희망이 피와 땀 그리고 의지의 결실이라는 점을 교훈 삼아  젊은 청춘들에게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의 활력소가 되기를 바란다.

 

 

 

1 댓글

  1. 200% 공감되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한국스럽다라는 말 참 좋네요.
    다소 진부하지만 용광로같은 열정과 애끓는 간절함이 있다면 두려울 것이 없다는 교훈을
    다시한번 새겨보는 아침이네요.
    이번에 월드컵 독일전을 보면서 “미쳐야 미친다.”는 책제목이 생각난건 우연이 아니겠지요
    맘고생 많았을 태극전사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댓글 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