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대에서는 8만개, 40대에서는 5만개 감소
통계청의 ‘일자리행정통계’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근로소득지급명세서 등으로 만들어진 통계자료다. 따라서 어떤 다른 통계보다 신뢰성이 높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에 의하면, 지난해 일자리는 ‘소주성’의 영향으로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일자리는 2342만개로 전년 대비 26만개(1.1%) 증가했다. 신규일자리는 297만개였고, 사라진 일자리가 271만개였다.
▲ 일자리 수 증가 폭은 전년(31만개)보다 5만개 줄었다.
▲ 연령별 일자리 점유율은 40대(25.9%), 50대(23.3%), 30대(22.1%), 20대(14.2%), 60세 이상(13.8%), 19세 이하(0.8%) 순이었다.
▲ 50대 및 60세 이상에서는 정부 주도로 일자리가 전년 대비 각각 14만개·25만개 증가했지만,
▲ 30대에서는 8만개, 40대에서는 5만개 감소했다.
지난해 정부가 세금으로 만든 각종 일자리 덕에 장년층의 일자리 여건은 수치상 나아졌지만, 생활비 수요가 가장 많은 층인 30대~40대의 고용은 악화하는 현상이다.
♦ 제조업 6만개, 건설업 3만개 감소
산업별 일자리 점유율은 제조업 468만개(20.0%), 도·소매업 301만개(12.8%), 건설업 207만개(8.9%),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96만개(8.3%) 순이었다. 도매 및 소매업(7만개)·부동산업(7만개)·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4만개) 등에서는 일자리가 늘었지만, 제조업·건설업 등에서는 각각 6만개·3만개가 감소했다.
지난해 조선·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과 건설업의 침체, 반도체를 제외한 분야의 수출이 감소하며 제조업 분야의 전반적인 신규 채용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제조업에서 일자리가 줄었다는 것은 국가 생산성이 저하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 영세자영업자 일자리 24만개 감소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영향으로 영세자영업자 일자리가 크게 줄었다. 종사자 300명 이상 기업에선 일자리가 14만개 늘었고, 50∼300명 미만 기업에서는 10만개, 50명 미만 기업에서는 2만개가 각각 증가했다. 그러나 영세자영업자인 종사자 1∼4명 기업 일자리는 신규일자리(122만개)보다 소멸일자리(146만개)가 많아 24만개나 줄었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5인 미만 기업에서 일자리가 감소한 데는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이 없다고는 말 못 할 것”이라며 “정확히 보려면 더 자세한 자료를 봐야 하는데 행정자료로 확언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