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발원지 국내 51%, 중국 32%

자체발생 51%로 내적 요인이 더 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한·중·일 3국의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연구결과 자체에서 발생한 초미세먼지비율은 연평균 기준으로 한국 51%, 중국 91%, 일본 55%로 나타났다고 20일 발표했다.

2017년을 대상으로 대기질 모델 기법을 이용하여 초미세먼지(PM2.5)에 대한 3국 주요도시의 국내외 영향을 분석한 이 결과를 토대로 보면, 중국 배출원에 대한 우리나라 3개 도시에 대한 평균 영향은 32%, 일본에 대한 영향은 25%로 나타났다.

한편, 같은 기준으로 우리나라 배출원의 중국에 대한 영향은 2%, 일본에 대한 영향은 8%로 산정되었고, 일본 배출원의 우리나라에 대한 영향은 2%, 중국에 대한 영향은 1%로 나타났다.

무공해대체에너지 개발 박차와 더불어 원자력 발전 재개에 대한 의견이 커질 듯

그간 언론에 의해 ‘중국發 황사먼지 주의보’로 보도되어 일반인들은 초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이 중국이 주요 발원지인 것으로 오해하고 있었다. 이번 조사결과 국내 발생 원인이 더 크다는 객관화 된 수치가 나타남으로 인하여, 향후 정책방향은 석탄 등 화석원료사용에 의한 발전시설을 축소하고 무공해 대체 에너지 개발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세계최고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자력 발전 탈피에 대한 반대 의견이 높아질 전망이다.

댓글 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