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알박기’로 체면 구긴 트럼프 – ‘틱톡’ 매각 행정명령 어떻게 되나 ?

트럼프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중국 IT기업 틱톡(Tiktok)의 미국내 매각이 좌초 될 위기에 봉착했다. 지난 금요일인 28일 중국 정부가 ‘첨단기술을 보유한 업체는 해외에 회사를 매각할 시 중국 정부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는 새 규정을 발표했다. 트럼프가 ‘장군’을 부르자, 중국이 ‘‘알박기’로 ‘멍군’한 것이다.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기반의 실리콘 밸리에 회심의 깜짝 선물로 환심을 사려했던 트럼프대통령의 체면을 구긴 중국에 어떤 반응이 나올지 관전 포인트가 되는 이유다.

중국 상무무 – ‘수출 제한 기술 목록을 수정발표

중국 상무부는 지난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국가안보를 위해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해외에 매각할 경우 반드시 중국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 상무부는 당국의 허가가 필요한 ‘수출 제한 기술 목록’을 수정해 발표했다.

이에 화답하듯이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는 지난 30일 저녁 늦게 성명을 내고 “중국 상무부가 ‘수출 제한 기술 목록’을 수정해 발표했다”면서 “앞으로 ’수출 제한 기술 목록’인 빅데이터 수집, 음성·문자 인식 처리 등 AI 분야 기술 등을 엄격하게 준수해 나가겠다”며 중국 당국의 새 규정을 따르겠다고 천명했다.

CNN은 “이 공고문에는 틱톡이나 베이징에 본사를 둔 소유주 바이트댄스라는 이름이 명시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규칙 변경으로 틱톡을 외국 회사에 팔기 전에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라고 보도했다.

시간에 쫓겨 헐값매각 우려되던 틱톡 중국 상무부 반격으로 매각 지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6일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 부문을 미국 기업에 팔지 않으면 미국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했다. 이유는 미국인들의 개인정보가 중국에 유출될 우려가 있다는 국가 안보 위협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 명령에 서명하며, 매각 기한을 9월 15일로 못 박았다. 그러나 중국 상무부의 이번 규정으로 시한에 쫓기던 틱톡 매각 협상에 급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커졌다. 현재 중국기업 틱톡의 인수전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월마트 등이 뛰어든 상황이다. 선거를 앞두고 갈 길 바쁜 트럼프의 체면마저 구기게 한 중국을 어떻게 손볼지 관전 포인트다.

댓글 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