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들어 급격히 둔화되기 시작한 자영업자 수익 증가율이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가계와 비영리단체'(주로 영세업자) 영업잉여 증가폭이 지난해 1%에 그쳐 2011년 0.7% 이후 최저치였다. 영업잉여 증가율은 2013년 2.9%를 기록한 후 2014년 1.9%, 2015년 2.1%, 2016년 2.3%를 보이다가 지난해 크게 하락했다.
음식점 생산은 지난해 3.1% 줄어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지난 2000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고, 음·식료품 소매업 생산도 9.2% 줄며 16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인터넷 강의의 인기 등을 이유로 학원업 생산은 9년째, 문구점과 슈퍼마켓 등 골목상권도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 지난해 기준 자영업자는 총 568만2000명으로 전체 취업자(2672만5000명)의 21.3%를 차지했다. 자영업자 비중이 꾸준히 줄어들고 있지만 선진국(10% 내외)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적지 않은 수치로, 이들의 몰락은 한국 경제에 큰 위기가 될 수 있다.
1988∼1997년의 10년간 가계 영업잉여 연평균 증가율은 12.0%에 달했다. 그러나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1998∼2007년에는 2.8%로 뚝 떨어졌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자영업 경기는 반전하지 못했고, 2008∼2017년 연평균 증가율은 1.7%로 더 줄었다.
기사출처: 뉴스웍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