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가을 2차 코로나와 인플루엔자가 겹치지면 대재앙 올 수 있어

코로나 2차위기, 독감인풀루엔자와 겹쳐 온다면

올해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플루엔자 감염자가 크게 줄고, 유행시기도 일찍 종식됐다. 코로나19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시되면서 얻은 반사이익이다.

하지만 올 가을 코로나19의 2차위기가 올 때는 양상이 다를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플루엔자가 겹쳐 유행할 가능성이 높아 국민건강에 치명적인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20일 국회에서 열린 ‘코로나19 2차위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주제의 토론회에서 국립암센터 기모란 교수는 “이번 코로나19 유행은 2월에 시작돼 인플루엔자 유행시기를 비켜갔지만 올 가을 두 감염질환이 동시에 유행할 때는 사망자 급증 등 상황이 심각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심도 있는 정책적 대응을 주문했다.

WHO도 올 가을 코로나와 인플루엔자 동시 유행 우려

국립암센터 기모란 교수의 대응책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일찍 시작하고 접종대상을 3000만명까지 확대 하는 것이다.

최근 미국의사협회저널(JAMA)가 소개한 지난달 인플루엔자 등 동반 감염률은 21%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올 가을 이후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동시 유행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 교수는 “5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1918년 스페인 독감의 경우, 2차 유행 시 사망자가 1차 때의 5배나 됐다”며 “올 가을 인풀루엔자 예방접종은 평소보다 일찍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독감백신 접종대상 넓히고 시기 앞당겨야

또한 ”지난해 2000만명이 예방접종을 받았지만 올해는 기존 접종자에 만성질환자와 고위험군 전파 위험자들까지 더해 3000만명을 대상으로 접종할 것“을 권했다. 이를 위해선 법률 개정이 시급하다.

현재 필수예방접종은 감염예방법에 따라 관할 보건소와 위탁받은 의료기관이 시행한다. 또 예방접종 비용은 비급여 대상으로 명시돼 65세 노인이나 어린이, 임신부 등에 국한해 정부가 지원한다.

기 교수는 고위험군인 만성질환자, 고위험군에 전파할 위험성이 있는 의료기관 종사자, 6개월 미만 영아를 돌보는 사람과 만성질환자나 임신부 및 노인과 동거하는 사람까지도 국가와 지자체가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 : CNN캡쳐 / 기사내용과 일치하지 않음 / 저작권침해의사 없음>

기사출처 : 뉴스웍스

댓글 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