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 이하 ‘농식품부’)는 “청년을 위한 스마트팜 장기 보육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2.9일부터 3.16일까지 제1기 교육생 60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스마트팜 종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모든 교육과정이 국비로 지원 이번 장기 보육 프로그램은 미래농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스마트팜에 종사하는 전문인력 부족 문제와 기존의 단기성 스마트팜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하게 되었으며 모든 교육과정이 국비로 지원된다. 지원자격 조건은 만 18세 이상부터 40세 미만의 청년을 대상으로 모집하며, 전공에 관계없이 창업농 희망청년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과정은 1년 반 이상의 심층과정을 거쳐 창업까지 지원된다. 특히, 교육비는 전액 무료이며 교육생의 자격 요건에 따라 `농업법인 취업` 알선과 `월 최대 100만원의 영농정착금` 혜택도 받을 수 있으며, 보육과정은 아래와 같다. ♦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과정 ♦
- 입문교육 (1~2개월)
스마트 팜이론, 창업설계, 마케팅, 작물재배, 스마트기기 운용 등 기초교육
-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과정 (6개월)
전문가 지도 아래 생산(육모, 관리, 수확) 과정을 실습 농장에서 현장 실습 교육생별 영농지식 수준에 따라 3개월 내지 8개월의 이론교육(입문교육)과 현장실습과정(교육형 실습)을 수강한 후,
- 경영형 실습교육 (1년)
팀별로(3명 1팀) 제공되는 스마트팜 실습농장에서 자기 책임 하에 영농 계획, 생산, 판매 전과정을 직접 수행 (경영실습농장) 현장 전문가 영농지도, 컨설팅 지원스마트팜 전문 컨설턴트의 현장지도와 자문을 받으면서 영농
- 교육 후 창업 지원
스마트팜 종합자금, 농신보 우대지원 농지은행 비축 농지 우선 장기 임대 빅데이터 수집 . 공유로 최적 생육관리 등 ♦ 전문인력양성과 청년실업문제 해결 등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계획 본지는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향하는 『이도향촌』의 트렌드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언론사로써 농림축산식품부가 미래농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스마트팜’ 종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이러한 계획을 적극 지지한다. 또한 이러한 정책이 청년 취업난 해소 등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성공적인 결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향후 이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현지 취재를 통하여 독자들의 궁금증을 해소 할 예정이다. 송근석기자 / shark@thesignal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