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백신, 정확하게 알고 접종 받아야

♦ 6개월 미만 영아는 접종하면 안 돼

본격적인 독감(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시기이다.  독감 백신에 대한 안전 정보를 알아 본다.

접종 대상 및 횟수

 

독감 백신은 6개월 미만 영아는 접종해서는 안 된다.  65세 이상 노인, 생후 6개월~59개월 소아, 임산부 및 만성폐질환자 등은 접종을 받는 게 유익하다.

 

독감 백신은 백신을 처음 접종하는 생후 6개월 이상에서 만 8세 이하 어린이에게는 한 달 이상 간격으로 2차례 접종해야 하며, 접종 경험이 있는 경우 매년 1회 접종하는 것을 권장한다.

 

참고로, 올해부터 생후 60개월부터 12세 어린이까지로 무료 접종 대상이 확대되어 만 65세 이상 노인과 12세 이하 어린이는 전국 보건소와 지정 의료기관에서 독감 백신 무료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독감백신 종류 – 허위‧과대 광고 등에 유의

 

국내 허가된 독감 백신은 65개 제품이지만, 올해 국가출하승인을 거쳐 국내에 유통되는 독감 백신은 21개 제품이다.

독감 백신은 제조 방식에 따라 계란을 활용하여 생산되는 ‘유정란 백신’과 동물세포를 이용한 ‘세포배양 백신’으로도 구분되며, 유정란 백신 19개, 세포배양 백신 2개가 올해 각각 유통된다.

다만, 코(비강)에 접종하는 생백신이나 면역증강제가 함유된 노인전용 독감 백신은 국내에 유통되지 않으므로 허위‧과대 광고 등에 유의해야 한다.

 

백신접종 시 유의사항

 

과거 독감 백신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접종 해서는 안 된다.

사전에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 접종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중등도 또는 중증 급성질환자는 증상이 호전된 후 접종해야 한다.

특히, 계란, 닭고기, 닭 유래성분에 대한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 유정란 백신을 접종해서는 안 되며, 의사와 상담을 거쳐 다른 종류 백신(세포 배양)을 접종해야 한다.

 

댓글 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