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결과 없음
  • Home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가람스테이
  • 주요뉴스
    • 경제
    • 산업
    • 국제
    • 사회
    • 정치
  • 백세시대
    • 건강정보
    • 대체의학
    • 명의탐방
    • 비즈니스 정보
  • 문화사
    • 공연, 서평
    • 동양철학
    • 서양문화사
  • 사회공헌
    • 이도향촌
      • 6차산업
      • 내고향 특산물
      • 성공사례
    • 구인구직
    • 불우이웃돕기
    • 사회적 기업
    • 우리시대 목민관
    • 청년 창업자
  • 칼럼
    • 사설
    • 시론
    • 잊지 못할 이야기
가람스테이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sharkshark
  • 2017. 12. 21.
  • 공연, 서평, 문화사
  • 1개 댓글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백석의 시다.

일제시대 시인 백석은 천재적인 재능과 훤칠한 외모로 당시 모든 여성들의 선망의 대상 이었다고 한다.

백석은 함흥 영생여고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하던 1936년, 회식 자리에 나갔다가 기생 김영한을 보고 첫눈에 반한다. 백석은 그녀를 옆자리에 앉히고는 손을 잡고,

“오늘부터 당신은 영원한 내 여자야.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기 전까지 우리에게 이별은 없어.”

라는 유명한 말을 남긴다.

백석은 이백의 연작시 중 ‘자야오가’ (子夜吳歌)의 주인공 ‘자야’라는 호를 그녀에게  주고 그렇게 둘은 첫눈에 사랑에 빠져 동거를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유학파에 당대 최고의 직장인 함흥 영생여고 영어 선생 이었던 백석의 부모는 기생과 동거하는 아들을 탐탁지 않게 여겼고, 강제로 다른 여자와 결혼을 시켜 둘의 사랑을 갈라 놓으려 한다.

백석은 결혼 첫날밤에 자야(子夜)에게로 다시 돌아가 만주로 도망을 가자고 제안한다.

그렇지만 자야는 보잘 것 없는 자신이 혹시 백석의 장래에 해가 되진 않을까 하는 염려로 이를 거절하고, 백석은 자야가 자신을 찾아 바로 만주로 올 것을 확신하며 먼저 만주로 떠난다.

만주에서 홀로된 백석은 자야를 그리워하며 그 유명한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를 지으며 그녀를 기다리지만 그녀는 오지 않는다.

그 둘의 이별은 결국 영원한 이별이 되고 만다. 해방이 되고 백석은 자야를 찾아 만주에서 함흥으로 갔지만 자야는 이미 서울로 떠나 버렸고, 그 후 3.8선이 그어지고, 6.25가 터지면서 둘은 각각 남과 북으로 갈라져 다시는 만나지 못하게 된다. 이후 백석은 평생을 자야를 그리워하며 홀로 살다가 북에서 1996년 사망한다.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아쉽게도 알려진바 없다.

백석이 죽은 이듬해인  1997년 법정스님은 대원각 자리에 ‘길상사(吉祥寺)’를 창건한다. 남한에 혼자 남겨진 자야 (김영한)가 성북동 골짜기에 대원각이라는 요정을 세워 엄청난 부를 이루고  시가 1,000억 원 상당의 대원각을 조건없이 법정 스님에게 시주를 한 결과다. 그녀가 법정으로 부터 받은 보답은 길상화(吉祥華)라는 법명과 염주 하나였다.

1999년 11월 14일 평생 백석을 그리워했던 자야는 길상사 경내의 길상헌에서 마지막 눈을 감으며,

“1000억 재산이 그 사람(백석) 시 한 줄만도 못해. 내가 죽으면 화장해 길상사에 눈 많이 내리는 날 뿌려달라.”

라고 유언을 했다고 한다.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속 눈이 푹푹 내리던 날 백석에게 가지 못한 회한을 이루고 싶었나 보다.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날인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이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아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다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날이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닐 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날이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 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 것이다

 

♦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에서 내년 1월 28일까지 런닝타임 100분의 뮤지컬로 공연 중이다.

 

송근석기자 / shark@goodmonday.me

shark
shark
기사 : 1673

최신 글

  • 시다림을 다녀와서
  • 『팝으로 보는 세상』 – 언론중재법 vs. 보디가드
  • 美 인프라 1조달러 법안, 상원 통과
  • 『팝으로 보는 세상』 – 인생이모작, ‘행복한 아침’
  • 『팝으로 보는 세상』 – 이용복의 ‘쥴리아’
  • 日 도쿄, 신규 코로나확진자 하루 2848명…역대 최다
  • 필립모리스, 영국에서 담배 안판다는 이유

최신 댓글

  1.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이스라엘과 미국의 코로나극복 과정의 이별리
  2.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이스라엘과 미국의 코로나극복 과정의 Taeyul Park
  3. 『팝으로 보는 세상』 – 30대 보수당 대표 이준석 Too Young의 지니킴
  4. 『팝으로 보는 세상』 – 30대 보수당 대표 이준석 Too Young의 Yul.
  5. 美 오하이오주, 백신 접종자에게 나눠 준 100만달러 ‘백신복권’ 첫 당첨자 나와의 이동재

카테고리

  • 6차산업 (5)
  • 건강정보 (297)
  • 경제 (303)
  • 공연, 서평 (49)
  • 구인구직 (34)
  • 국제 (274)
  • 내고향 특산물 (30)
  • 대체의학 (42)
  • 동양철학 (65)
  • 명의탐방 (4)
  • 문화사 (39)
  • 미분류 (27)
  • 백세시대 (151)
  • 불우이웃돕기 (8)
  • 비즈니스 정보 (22)
  • 사설 (45)
  • 사회 (157)
  • 사회공헌 (54)
  • 사회적 기업 (6)
  • 산업 (88)
  • 서양문화사 (9)
  • 성공사례 (5)
  • 시론 (184)
  • 우리시대 목민관 (4)
  • 이도향촌 (38)
  • 잊지 못할 이야기 (97)
  • 정치 (80)
  • 주요뉴스 (70)
  • 청년 창업자 (59)
  • 칼럼 (23)

관련 게시물

여권 전 국무총리 대선후보들, 도쿄올림픽 보이콧 발언

  • 2021. 5. 30.

서울시, ‘2032 서울-평양 올림픽’ 유치제안서 IOC에 제출

  • 2021. 4. 1.

올해는 특히, “마음의 언어가 필요한 시기”

  • 2021. 3. 1.

댓글 1개

  1. 계룡

    계룡

    2017. 12. 24. / 오후 4:10 답글

    훤칠한 키에 수려한 외모와 지성까지 갖춘
    백석의 순정에 감복하게 되네요.
    (와~~~다 버릴수 있는 용기)

    보고 싶어도 못 보는 고통을 안고 긴 세월을
    살았을 연인들을 상상하니 갑자기 숨쉬기가
    어려워지네요 ㅠㅠ

    그 댓가로 ‘길상사’라는 사찰이 도심 속 아름다운
    위치에 자리하게 되었으니 헛된 이별은 아닌게
    분명하네요.

댓글 남기기 답글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Copyright © 2025 가람스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