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질병관리본부가 2020년 1분기 예방접종률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65세 어르신 폐렴구균 접종률은 2019년 동기 대비 3분의 1수준으로 감소했다. 수치로 보면 지난해 1분기 18.2%의 접종률이 올해엔 6.2%로 급감한 것이다.
어린이 필수예방접종 10종 역시 큰 폭은 아니지만 감소했다. 생후 12개월 이후 처음 맞는 백신 접종률은 2019년 대비 1%p, 만 4~6세 이후에 이뤄지는 추가접종은 2~3%p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 당국은 이러한 접종률 저하가 관련 감염병의 확산으로 이어져 코로나19로 영향을 받은 국민건강을 다시 한번 크게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초‧중‧고교가 개학을 하면 학교를 중심으로 수두, 유행성이하선염의 집단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
해외 교류가 다시 증가할 경우 홍역이나 풍진, 폴리오 등 해외유입 감염병의 대유행도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VPD)의 발생신고는 대부분 감소추세다. 수두와 유행성이하선염의 경우 2019년 대비 26~30% 줄었다. 이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그리고 학교의 개학 지연으로 집단발생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폐렴구균 감염증은 16% 정도 증가했다. 당국은 면역력이 없는 노인을 중심으로 이미 폐렴구균 감염병이 고개를 내미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안전한 예방접종 안내서를 만들어 배포하는 등 백신 접종 독려에 나서고 있다. 대상자가 안전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해 접종받을 수 있도록 사전 예약시스템도 개발 중이다. 이 시스템은 인터넷의 경우 5월 중, 모바일은 6월 중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질본은 폐렴구균 감염증은 노인층에게 치명적일 뿐 아니라 중환자실 이용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점에서 예방접종을 적극 권장할 방침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예방접종률이 크게 감소한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확대하기 위해 지자체와 대한노인회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뉴스웍스(http://www.newswork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