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코로나 지속 시 영업 유지전망(%) / 6개월 후 63.4%가 문닫아 / 한국경제연구원>
♦ 올해 2~3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등 급감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24개 주요 골목상권 업종에 대해 ⌜골목상권 경기현황 및 내년도 최저임금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의류점업 등 24개 골목상권 업종의 올해 2~3월 중 평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2.8% 급감하고, 평균 순이익은 44.8%나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 관계자는 “골목상권은 이미 작년부터 실물경제 위축과 최저임금 급등의 영향으로 많이 어려웠는데, 코로나19까지 겹치면서 한파가 몰아치고 있다”면서, “영세․소상공인의 생존권을 담보하기 위한 금융․세제 지원책 강화 및 신속 집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최저임금 역시 인상을 자제함으로써 골목상권 타격을 줄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2~3월 중, 의류점 (-85.0%) ,가구점(-80.0%) ‣금은방(-70.0%) 등이 극심한 부진
매출전망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24개 중 22개 업종에서 매출 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 ‣의류점(-85.0%) ‣가구점(-80.0%) ‣금은방(-70.0%) 업종 등이 극심한 부진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순이익 역시 24개 중 22개 업종의 부진이 예상된다. ‣유통(-95.0%), ‣의류점(-85.0%), ‣가구점(-80.0%) 등의 부진이 가장 심할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순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응답한 업종은 전무(全無)한 것으로 나타났다.
♦ 경영악화 원인, ①코로나사태로 인한 경기위축 ②최저임금 등 인건비 상승
골목상권 협회들은 매출․순이익 감소의 원인으로 ‘경기위축 및 방문객‧이용객 감소에 따른 판매부진’(93.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최저임금‧4대 보험료 등 인건비 상승(50.0%) ‣임대료 상승(20.0%) ‣동일업종 소상공인 간 경쟁 심화(10.0%) ‣대출 증가에 따른 원리금 부담 확대(6.7%) 등을 지적했다.
경영부진을 겪고 있는 골목상권의 63.4%는 6개월을 버티기 힘들 것으로 조사되었다. ‘0∼4개월을 버틸 수 있다’가 46.7%, ‘4∼6개월을 버틸 수 있다’가 16.7%로 나타났다. ‘6개월 이상 버틸 수 있다’는 응답은 36.6%로 조사되었다.
♦ 최저임금, ‘동결 혹은 인하’ 83.9%
골목상권 협회들은 코로나19 피해 최소화를 위해 부가가치세․소득세 등 세금감면 및 납부기한 연장(59.4%), 지원신청 절차 간소화 및 신속한 지원 결정(53.1%) 등을 요구했으며, 내년도 최저임금에 대해서는 압도적 비율(83.9%)로 동결(58.1%)‧인하(25.8%) 의견을 제시했다.
♦ 최저임금제도, 지역‧업종별 차등적용(65.6%) 요구
골목상권 협회들은 최저임금 제도개선과 관련 ‣지역별‧업종별 차등 적용(65.6%)이 가장 시급하다고 보았고, ‣최저임금 상승분 지원 확대(46.9%) ‣최저임금 산정기준 현실화(21.9%) ‣산입범위 확대(수당, 현물급여 등 포함, 15.6%)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 부가세 등 세금 감면, 지원절차 간소화 등 필요
코로나사태에 따른 골목상권 피해 최소화를 위해 단기적으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부가가치세‧소득세 등 세금감면 및 납부기한 연장(59.4%) ‣각종 지원책 신청절차 간소화 및 신속한 지원여부 결정(53.1%) ‣대출부담 및 대출조건 완화(46.9%) ‣ 피해 사업장 직접지원 확대(15.6%) 등을 꼽았다.
http://me2.do/G53qOG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