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팝으로 보는 세상』 – ‘인국공’發 Sad Movie와 ‘다이아나 효과’

사다리 걷어차인 취준생들의 악몽 Sad Movie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의 ‘인국공(인천국제공항공사)’ 발언의 파장이 일파만파다. 김 의원은 26일 페이스북에 “조금 더 배우고 필기시험 합격해 정규직 됐다고 비정규직보다 2배가량 임금 더 받는 게 오히려 불공정”이라는 글을 올렸다.

이 발언을 두고 SNS에는 비꼬는 댓글들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이제 공부를 다 때려치우자”에서부터 “국민소환제”까지 나왔다. 그러나 이미 엎질러진 물이다. 설사 돌이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해도 그럴 수도 없다. 또 다른 갈등이 터져 나올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 정권을 지지해 온 20대 취업 준비생들에게 남은 건 서럽고 슬픈 배신뿐이다. 1961년 미국 팝가수 슈 톰슨(Sue Thompson)이 발표한 추억의 올드팝송 Sad Movie와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1981년 민혜경이 ‘슬픈 영화는 싫어요’라는 제목으로 번안해 불러 히트 했다.

YouTube video

차라리 슬피 울고 나서 다시 시작해야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사회적 스트레스지수가 높다. 미국의 플로이드 사건이 점화한 인종차별 시위 확산 이유 중에도 코로나에 빼앗긴 직장과 잃어버린 꿈 그리고 분노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현실을 부정하고 세상에 삿대질을 해 봐야 변 할 것은 없다. 차라리 슬픈 노래를 들으며 감정을 다스리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다이애나 효과’라는 말이 있다. 1997년 다이애나 왕세자비 사망 후 영국의 정신병원이나 심리상담소를 방문한 우울증 환자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고 한다. 사람들이 흘렸던 눈물은 다이애나를 애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가슴 속 깊이 쌓였던 스트레스, 분노, 아픔까지 함께 씻겨 나가는 카타르시스 때문이라는 것이다.

댓글 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