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40대가 가장 많아

공황장애란 ?

공황장애는 죽음이 임박할 것 같은 극심한 불안과 함께 두통, 현기증,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저림 등의 신체증상이 나타나는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4년~2018년간 ‘공황장애’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5년간 연평균 14.3% 증가했다.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1.2배 많았고, 남녀모두 40대(2018년 기준 38,825명, 24.4%)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40대에서 가장 많고,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공황장애(F41.0)’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4년 9만 3천명에서 2018년 15만 9천명으로 2014년 대비 70.5%(연평균 14.3%) 증가하였다.

남성은 2014년 4만 3천여 명에서 2018년 7만 3천명으로 연평균 13.8%, 여성은 4만 9천여 명에서 8만 6천명으로 연평균 14.6% 증가하였다.

2018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40대 환자(38,825명, 24.4%)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50대(33,057명, 20.7%), 30대(29,530명, 18.5%) 순으로 나타나 전체 환자(15만9천명)의 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평균 증가율은 20대가 24.5%로 가장 많아

공황장애 질환의 진료인원은 30~40대가 가장 많으나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20대가 24.5%, 10대이하가 18.1%으로 높게 나타나 젊은층에서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공황장애’가 30~50대 중장년층에서 가장 많은 원인

일반적으로 공황장애의 호발연령은 젊은 성인으로, 어떤 나이에도 발병할 수 있다. 공황장애의 위험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자원의 결핍, 흡연, 알코올 문제, 최근의 이혼이나 이별과 같은 스트레스 사건 등이 있는데, 이러한 생활사의 기복이 가장 많은 연령대에 호발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 20대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은 원인에 대하여

최근 학업, 취업 등 사회 초년기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20대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공황장애 발병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20대에서 우울증 발병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황장애와 우울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며, 공황장애에서 주요우울증이 약 25%에서 공존한다.

치료방법

가장 쉬운 공황장애 예방법은 위험요인을 피하는 것이다.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금연·금주와 함께 커피를 많이 마시는 것 또한 공황발작을 유발, 악화시킬 수 있다.

먼저 공황장애 약물치료의 목적은 공황발작의 반복을 줄이는 것인 동시에, 예기불안, 회피행동 및 우울증 같은 공존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흔히 항우울제로 알려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빠른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유용하다. 공황장애의 약물치료 효과는 약 3개월 후 평가를 하며, 약물에 반응을 한 이후에도 약 6개월 이상 치료를 지속한다. 만성적이고 재발이 잦아 대개 12 ~ 24개월 정도의 유지치료를 권장한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가 효과가 유용하다. 공황장애에 대한 교육을 통해 쉬이 불안해지지 않도록 안심하고, 예기불안이 공황발작을 유지·악화시키는 것에 대하여 인지오류를 교정하고, 불안반응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댓글 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