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Z 이어 얀센도 혈전 부작용 – 어느 백신이 더 안전할까 ?
아스트라제네카에 이어 얀센까지 혈전 부작용 문제가 나타나면서 백신에 대한 불신과 접종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얀센백센 600만 명분을 도입하는 우리나라도 11월 집단면역이 쉽지 않아 보인다. 문제는 같은 기술로 만들어지는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에서 혈전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그렇다 해도 두 백신이 동일 할 순 없다. 과연 어느 백신이 상대적으로 더 안전할까?
아스트라제네카에 이어 얀센까지 혈전 부작용 문제가 나타나면서 백신에 대한 불신과 접종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얀센백센 600만 명분을 도입하는 우리나라도 11월 집단면역이 쉽지 않아 보인다. 문제는 같은 기술로 만들어지는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에서 혈전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그렇다 해도 두 백신이 동일 할 순 없다. 과연 어느 백신이 상대적으로 더 안전할까?
사진은 바이든 미 대통령이 ‘어깨 삼각근’ 부위에 백신을 접종받는 모습이다. 미국 CDC(질병통제국)과 우리나라 질병관리청은 ‘어깨 삼각근’에 주사기로 수직으로 백신을 접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명불허전(名不虛傳)’이 따로 없다. 앤서니 파우치 박사는 44세이던 1984년,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NIAID) 소장이 된 후 37년간 전염병 예방과 치료를 이끌어온 81세 노병이다. 서슴치 않는 직언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눈엣 가시였지만, 끝내 해고 하지 못했을 정도다. 그가 “미국인들은 2022년에도 마스크를 착용할 것이다”라며, 코로나19의 장기전을 예고했다고 22일 CNN이 보도했다.
미국의 코로나사태가 통제 불가능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백악관 TF 조정관인 데보라 벅스 박사가 2일(현지시간) 경고하면서 모든 주정부가 동일한 기준으로 방역체계를 도입하고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CNN이 보도했다.
팬더믹의 공포로 실수는 반복되고 있지만(over and over), 인류 역사가 그래 왔던 것처럼, 실수에서 배운 것들이 쌓이고 쌓여(over and over) 결국 극복해 이겨내고 말 것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독감 테스트와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여 15분 이내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결과를 알 수 있는 진단 카트를 승인했다고 CNN이 28일 보도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코로나19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에서도 코로나19 확산은 시간문제라며 지역사회 전파에 대비하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