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현대자동차

여의도 국회에 도심형 수소충전소 착공

현대자동차㈜가 여의도 국회에 서울시내 첫 상업용 수소충전소 설치한다. 국회 수소충전소는 서울 한복판 도심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국회 수소충전소는 서울 내 첫 번째 상업용 수소충전소다. 일반인과 택시도 수소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어 수소전기차 보급 활성화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

현대차, 중동 최대 차량호출서비스 업체에 5천대 공급

현대자동차가 '카림'에 연말까지 5000대의 공유차량을 공급한다. 동남아, 인도 등으로 공유경제 사업 영역을 확대해 온 현대자동차가 중동 지역까지 넓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공급차종은 쏘나타, 투싼, 싼타페, 그랜저 등이며 현대자동차는 유지보수와 서비스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펼친다.

‘현대 셀렉션’ 라인업에 신형 쏘나타 투입

현대자동차의 신개념 모빌리티 서비스 ‘현대 셀렉션(Hyundai Selection)’은 월 단위 이용 요금 72만원(부가세 포함)을 지불하면 주행거리 제한 없이 쏘나타, 투싼, 벨로스터 중에서 원하는 차량으로 매월 최대 2회씩 교체해 탈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1월 런칭하였다.현대자동차(주)는 이 프로그램에 신형 쏘나타를 투입해 새로운 라인업으로 리뉴얼 런칭한다고 밝혔다.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 국내 첫 오픈

현대자동차는 오는 6월까지 ▲중부고속도로의 하남휴게소(경기도 하남시 소재) ▲남해고속도로의 함안휴게소(경상남도 함안군 소재)에 수소충전소를 추가로 개소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며, 한국도로공사도 오는 6월까지 ▲경부고속도로의 언양휴게소(울산시 울주군 소재) ▲호남고속도로의 백양사휴게소(전라남도 장성군 소재)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성주휴게소(경상북도 성주군 소재)에 수소충전소 구축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나서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투싼’, 마쯔다와 르노를 성능에서 제쳐

독일에서 신뢰성 높은 자동차 매거진인 아우토빌트의 평가 결과는 유럽 소비자들이 차량을 구매할 때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아우토빌트는 이번 평가에서 현대자동차 투싼과 마쯔다의 CX-5, 르노의 카자르 등 세 가지 경쟁 차종을 놓고 ▲차체 ▲엔진 ▲주행성능 ▲연결성 ▲친환경성 ▲편의성 ▲경제성 등 총 7개 부문 52개 항목을 평가했다.평가 결과 투싼은 750점 만점에 524점을 획득해 CX-5(522점)와 카자르(510점)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현대차, 수소전기차 안전 기술력 공개

넥쏘 수소전기차는 미국의 비영리 자동차 안전연구기관인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기준으로 실시한 측면 대차 충돌 테스트 차량이다. 이 테스트는 대형 픽업 트럭이 측면부를 시속 50km로 충돌하는 상황을 가정한 가장 가혹한 조건으로, 넥쏘는 승객 상해, 머리보호, 차량 변형에 있어 모두 GOOD 등급을 받았다.

HYUNDAI, 전기차 무선충전기술 국제표준안 추진

현대자동차는 ‘저주파 안테나 기반 무선충전 위치정렬 기술’이 국제 표준기술로 인정받아 특허권이 등록될 경우, 해당 표준기술 사용에 대한 로열티를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므로 수익 창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소차 넥쏘, 미국 1호차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미국, 유럽에서 인정받은 기술력과 안전성, 그리고 긴 주행거리를 갖춘 넥쏘야말로 궁극의 친환경차라는 점을 적극 알리고 있다”며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높은 미국시장의 다양한 소비자들에게 넥쏘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내 첫 번째 수소전기버스 시범운행

현대자동차의 신형 수소전기버스가 지난 21일부터 서울시의 405번 버스노선에 내년 8월까지 시범 투입 중이다. 지난달 국내 최초로 울산시 시내버스 노선(124번)에 투입된 후 두 번째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수소전기버스를 비롯한 수소전기차는 무공해 차량일 뿐 아니라 전용 부품수가 많아 산업 및 고용 측면에서도 그 효용성이 크다”면서 “현대자동차는 수소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열기 위한 투자와 연구개발(R&D)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세먼지 잡는 수소전기버스, 『울산市』운행 개시

우리 정부도 내년 전국 5개 도시 시내버스 정규노선에 수소전기버스를 투입하고 이를 광역좌석버스로 확대해 오는 2022년까지 총 1천대의 수소버스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지난 6월 밝힌 바 있다. 내년에는 수소전기버스 보조금 신설, 운송사업용 수소버스 취득세 50% 감면 등의 지원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