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리 1%p 오르면 – 2030세대 이자만 3조 증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올해로 당겨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역대 최대 수준의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아 주택구입)과 빚투(빚내서 주식·가상화폐 투자) 열풍으로 급격히 증가한 20~30대의 대출이자 부담이 3조원가량 늘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올해로 당겨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역대 최대 수준의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아 주택구입)과 빚투(빚내서 주식·가상화폐 투자) 열풍으로 급격히 증가한 20~30대의 대출이자 부담이 3조원가량 늘 것으로 추정된다.
11일 잉글랜드은행(영국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0.50% 인하 했다. 이로써 영국의 기준금리는 0.75%에서 0.25%로 내려앉았다. 이번 조치는 지난주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금리를 0.5퍼센트 인하한 데 이은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미국 중앙은행의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조치는 지난 달 27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1.25%인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을 무시하고 동결한 한국은행과는 전혀 다른 시장 친화적 모습이다.
오늘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현재 연 1.25%인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은 2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려 역대 최저인 1.00%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9일(현지시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현행 1.50~1.75%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이 당분간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시장의 예측과 맞아떨어진 결과다.
18일(현지시간) Fed는 기준금리를 기존 2.00%에서 1.75%로 0.25%포인트 내렸다. 지난 7월말 기준금리를 인하한 데 이어 두 번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Fed의 기준금리 인하 발표 직후 트위터로 “제롬 파월과 Fed는 또다시 실패했다”면서 “배짱도 없고, 감각도 없고, 비전도 없다. 끔찍한 소통자”라고 비난했다.
최근 시장동향은 금융권은 물론 실물경제에서도 금리인하 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대외요인으로 전 세계적인 경기 불황예측에 따른 장단기 금리역전현상이다. IMF는 한국 경제 상황을 감안 할 때 통화 정책 완화 (유동성 증대)를 권고하기도 했다. 대내 요인은 1월부터 3월까지 석 달 째 소비자물가상승률이 0%대에 그치고 있는 현상이다. 여기에 뚜렷한 부동산 가격인하 조짐이다. 더 이상의 부동산 인하는 가격인하를 가속화 시켜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주목해야 할 요인은 골목상권의 불황과 실업증가이다. 이주열총재는 반도체가격에 따른 경기 불황요인을 지적했지만, 그 보다 피부로 느끼는 요인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은 높은 곳보다 낮은 곳을 봐야 한다. 특히 물밑의 바닥경기를 제대로 주시하고 할 빨리 금리를 인하해야만 한다.
정부와 관계기관은 22일 오전 기획재정부 고형권 제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여 美 연준의 3월 FOMC 0.25% 금리인상의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 미국 금리 금년 내로 2.25% 수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