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총 2천조원 경기부양안 – 금리상승으로 주가 하락 시킬 수도
미국의 1조9천억달러 규모의 미국 경기부양안 하원 통과가 전세계 경기회복을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반면에 인플레이션,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대규모 경기부양안이 미국내 소매매출을 급격히 끌어올리면 고용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금리가 급등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근 테슬라 등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타는 이유가 여기 있다.
미국의 1조9천억달러 규모의 미국 경기부양안 하원 통과가 전세계 경기회복을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반면에 인플레이션,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대규모 경기부양안이 미국내 소매매출을 급격히 끌어올리면 고용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금리가 급등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근 테슬라 등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타는 이유가 여기 있다.
코로나19가 준 가장 큰 교훈은 무엇이었을까? 문체부가 ‘코로나19 대응과 회복을 위한 공공소통’을 주제로 국제 화상토론회를 한 결과, 세계 각국의 전문가와 정부 소통기관들은 ‘신뢰의 중요성’이라고 답했다. 문체부 박양우 장관은 “(코로나19로) 위험한 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지만, 투명한 소통을 바탕으로 국민과 정부가 서로 신뢰하고 협력한다면 극복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하나를 보면 열은 안다’는 속담이 무색하게 국내정국은 신뢰가 완벽하게 무너져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미국 중앙은행의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조치는 지난 달 27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1.25%인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을 무시하고 동결한 한국은행과는 전혀 다른 시장 친화적 모습이다.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보면 올해 6월 아르헨티나와 터키를 제외한 세계 51개국의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를 기록했다. 한국은 이보다 1.2%포인트 낮은 0.7%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