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인공지능) 이용한 – 중환자실 소아환자 위험도 예측
국내 기술진이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중환자실에 입원한 어린이 환자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국내 기술진이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중환자실에 입원한 어린이 환자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고령자나 심장질환자의 침구 밑에 장착해 심장박동과 호흡을 측정하는 얇은 ‘시트 센서’가 개발됐다. 잠을 자는 동안 돌연사를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정이나 노인보호시설에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윌리엄 케일린 하버드대 교수(미국)와 그레그 세멘자 존스홉킨스대 교수(미국), 피터 래트클리프 옥스퍼대 교수(영국) 등 이들 3명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암 줄기세포만 선택적으로 추적하는 새로운 형광물질이 개발됐다. 장영태 기초과학연구원(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연구팀은 암 줄기세포를 표적하는 형광물질 타이니어를 개발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항암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
운동을 꾸준히 하면 자살충동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창수 교수와 김현욱 전공의 등 연구팀은 지속적인 운동과 자살충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도출했다고 10일 밝혔다.
앞으로 10년 뒤면 의료분야의 3D프린팅 시장규모가 61억달러(약 7조4000억원)에 이른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기술분야 시장조사 및 전략컨설팅 기업인 IDTechEx는 19일 의료분야 3D프린팅 시장규모가 년 평균 18%씩 성장해 2029년엔 총 61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국민이 실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을 발굴하여 정부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전국민을 대상으로 식의약 연구개발 사업(R&D) 아이디어를 공모한다.
줄기세포는 세포분열을 통한 증식 및 분화과정을 거쳐 자기 자신을 복제하거나 다른 종류의 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특이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 송수창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재료연구단 박사 연구팀이 하이드로젤로 줄기세포를 잘 감싸서 보호하고, 줄기세포를 원하는 대로 분화시킬 수 있는 줄기세포 주사 기술을 개발했다.
‘쾌면, 쾌식, 쾌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3쾌’에 변의 원활한 소통을 강조한 것은 무척 흥미롭다. 그만큼 우리 조상들도 장 건강에 높은 점수를 준 것이다. 장도 피부처럼 노화한다. 근육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이완성 변비에 시달리고, 점막이 제대로 재생되지 않아 영양소의 섭취나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 변은 장건강의 바로미터인 것이다.
‘베지 체크’라는 이름의 이 측정기는 피부에 LED(발광다이오드)에서 나오는 빛을 쪼인 뒤 반사된 빛을 분석해 채소섭취량의 추정치를 산출한다. 피부에는 그날 먹은 채소의 카로티노이드(carotenoid)가 함유돼 있어 센서가 이를 읽는 것이다.
일본 가나자와(金沢)대학과 도쿄대학·이화학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은 최근 항암제에 저항성을 갖는 단백질 ‘HGF'와 결합해 암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펩티드 ‘HiP-8’을 만드는데 성공해 연구내용을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고 소개했다.
한약재를 정제한 약침액이 척추관협착증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서울대약대 이상국 교수와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는 한약추출물인 ‘신바로2’가 염증 및 통증 완화, 보행능력 개선 등 주요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