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국제

美 인프라 1조달러 법안, 상원 통과

◆ 공화당 의원 19명이 민주당에 가세해 찬성표 백악관과 초당파 의원들이 합심해 마련한 1조달러대 인프라 법안이 찬성 69표, 반대 30표로 상원 문턱을 넘었다. 공화당 의원 19명이 민주당에 가세해 찬성표를…

방역 해제, 여름인 지금이 적기다.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5만명을 넘는 상황에서 단행 된 영국의 코로나 방역규제 전면 해제에 대해 보리스 존슨 총리는 "규제를 지금 해제하지 않는다면, 추운 날씨로 바이러스가 더 우세해지는 가을이나 겨울에 문을 열어야 한다"면서 "지금이 적절한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영국 정부, 코로나19와 정면승부강행

◆ 7월 19일에는 모든 방역지침 없앤다. “확진자 수는 많지만, 사망자 수는 아직 적다” 이 말은 불륜설로 사임한 맷 행콕 보건부장관의 후임지명자 사지드 자비드 장관이 28일(현지시간) 하원에서 한 발언이다.…

‘대선 음모론’ 줄리아니는 변호사 면허 박탈, 트럼프는 ?

사진은 지난해 대선은 세기의 사기이자 범죄였다라고 연설하는 트럼프 전대통령의 최근 모습이다. 이 연설 불과 이틀 전인 24일, 뉴욕주 항소법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패배를 뒤집기 위해 거짓 주장을 펼쳤다는 이유로 줄리아니 전 시장의 변호사 자격을 정지했다. 정치인의 억지주장에는 눈감지만, 법조인의 거짓선동에는 엄격한 미국법원판결이라 관심이 간다.

날개없는 추락인가, 3만달러 지킬 것인가?

비트코인은 밤새 3만 달러 저지선을 두고 공방 중이다. 한국시간 22일 밤 10시 30분에는 2만9700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7일(현지시간)에는 ‘아이언 티타늄 토큰(타이탄·TITAN)’이 65달러에서 불과 몇 시간 만에 0.000000035달러로 폭락한 사례도 있어 공포감을 더하고 있다.

탄자니아도 비트코인 법정통화 추진

중남미의 엘살바도로가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공식 채택하자 주변국들인 멕시코·콜롬비아 등 이 이를 따를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아프리카 탄자니아도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대해 달러 경제권에서 소외된 빈곤국가들을 중심으로 비트코인을 수용하는 나비효과라며, 비트코인이 다시 살아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중이다.

어나니머스, 머스크에 응징 예고

어나니머스(Anonymous)가 가상화폐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일론 머스크에게 경고를 날렸다. 어나니머스는 익명의 구성원들이 비대칭 방식으로 활동하는 국제해커집단으로 정부의 부정부패, 인터넷 검열, 종교비리, 증오단체, 극단주의 테러세력, 공권력 남용 등을 주요 감시와 견제 대상으로 삼아왔다. 이번 경고가 머스크보다는 테슬라에 어떤 피해를 줄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주목되는 대목이다.

이스라엘, ’아이언돔’ 복구 위한 긴급 군사원조 美에 요청

사진은 BBC가 이스라엘의 아이언돔이 헤즈볼라의 로켓공격을 막아내고 있는 장면으로 보도한 사진이다. 지난달 10일부터 열하루 동안 이어진 전투에서 아이언돔으로 하마스의 로켓포 공격에 대응했다. 이스라엘은 대공방어 시스템 ‘아이언돔’을 복구하고 정밀유도탄 등 공군에 필요한 무기를 사는 데 미국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1조원에 달하는 긴급 군사원조 요청했다.

EU, 7월 1일부터 ‘디지털 백신여권’ 도입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오는 7월 1일부터 ’디지털 백신 여권’을 도입한다. 디지털 백신 여권을 소지하면 자가격리 없이 자유로운 출입국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여름 휴가철 유럽 내 여행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쿄올림픽 ’빨간불’

◆ 美 국무부 “일본 여행금지” 개최를 두 달여 앞둔 도쿄올림픽에 빨간 불이 켜졌다. 24일(현지시간) 미 국무부는 일본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하다는 이유로 여행 금지 국가 명단에 올렸다. 일본여행 권고를…

시민 80% 백신 접종, 中 베이징 – ‘집단면역 도시’ 코 앞

집단 면역은 일정 집단 구성원의 60~70%가 면역을 형성했을 때 감염병 확산이 중단되면서 면역이 없는 사람도 보호받는 상태를 뜻한다. 중국 수도 베이징의 18세 이상 주민 80%가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했다. 베이징이 곧 집단면역을 형성할 전망이라고 19일 뉴스웍스 통신이 보도한 이유다. 중국산 백신의 효능을 낮춰 잡아도 60% 면역 조건을 곧 넘길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